여름의 단상
/
세상을 있는 그대로 운치 있게 보면 정말 아름답고 살만하다.
내 어디 아프고 걱정이 있고 마음 한구석이 찌뿌디하면
좋은 상황이 펼쳐져도 싫으며 귀찮고 불안하다.
이런 마음 떨쳐버리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편안하게 살고 싶다.
그래서 교육도 훈련도 수련도 체험도 믿음도 필요하며
늘 갈고 닦으며 일상은 수행하는 마음으로 살아야 한다.
/
이런 삶이라면 좋은 일은 못해도 최소한 남 해꾸지하고 나쁜 짓은 안 한다.
버리고 비우고 내려놓은 청정한 마음은 있는 그대로 느끼는 것이다.
그렇게 참다보면 답답하면 답답한 대로 운치가 올라오고
추우면 추운대로 더우면 더운 대로 그 속에서 뭔가가 느껴진다.
처한 환경이나 사람마다 느낌이 다르지만 양심이라는 것은 같다.
이를 저버리고 부정적이거나 느끼지 못하면 불행이다.
큰 틀 전체적인 맥락에서 보면 일상의 하나하나는 정말 아무것도 아니고
걱정할 것도 불안해 할 것도 없는데 내 마음이 나를 가두니 그렇다.
/
언젠가는 한 곳으로 가는 것을 전제로 한다면
모든 것이 내려지고 머릿속은 하햫고 마음이 숙연해 진다.
그렇다고 늘 그런 생각만 하고 살수는 없으며
힘들고 괴로울 때는 두루두루 살펴볼 필요가 있다.
푹푹 찌는 삼복더위도 한 달이면 족하고
우리내 인생도 100년이면 족하고 더 길어도 제구실 못한다.
곧 가을 냄새를 풍길 텐데 이 세상 영원한 것이 어디 있으랴.
현실을 직시하며 있는 그대로 느끼는 그 마음이 아름답고 중요하다.
그래서 초심을 잊지 말라 했거늘
시집올 때 그 마음 그대로 간직하기가 싶지 않다.
/
이렇게 살다보면 운명이라는 것이 찾아와 심술을 부려
참 애롭고도 애로운데 그러나 어찌 하겠나
주어진 운명이라면 그렇게 참으면서 순응해야지.
이 또한 답답한 마음이지만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세상엔 편한 것이 없으며 편하지만 편하지 않을 때가 있다.
마음의 허우로움을 느낄 때가 가장 편하다.
그 마음을 가지려고 수련도 하고 종교의 믿음도 가지고
신도 찾고 조상도 찾고 제사도 지낸다.
/
마음은 어느 하나로 통일된 획일적으로 연결 지으려고 하면 안 된다.
좀 찜찜해도 손해 보드라도 그냥 그렇게 넘어 가는 것이 세상사는 법이다.
따지고 더 알려고 하면 불편하고 그것이 걱정이다.
이런 마음 다스리는 글과 말들은 무수히 많은데
그 본질은 결국 내 마음 내가 다스려야 한다.
즉 내려놓고 버리고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는 것 아닌가
오랜 수도 생활로 단련된 큰 스님이야 능통하지만
하찮은 중생들이야 하루하루 살아가기가 벅차다.
/
그래도 세월은 가고 세월 가니 사계절이 오고가고
지금의 여름이 가면 새로운 가을이 올 것이고
그 다음은 겨울이 와서 나뭇잎 떨어져 앙상한 가지만 남는다.
붉은 불빛 보고 죽는 줄 모르고 달려드는 하루살이 불나방은
자기 운명을 아는지 모르는지 즐겁기만 하다.
열심히 울어대는 저 매미는 여름이 끝나면 어디론가 사라질 것이다.
우리네 인생 또한 세월 따라 어디론가는 가는 것은 자명한 사실인데
하루살이 불나방이나 저 매미나 우리네 인생이나
잊고 사는 것은 마찬가지 아닌가.
/
이렇게 전체적인 맥락에서 크게 보면
세상은 아무것도 아니고 허무감이 밀려온다.
그 허무감 속에 잡다한 모든 생각을 다 날려 보내고
유유자적 살아가 보렴.
'삶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4.최선 (0) | 2013.08.05 |
---|---|
63. 감사와 겸손/ (0) | 2013.07.30 |
61. 나라는 “아상”을 지워라/ (0) | 2013.07.24 |
60. 궁상/ (0) | 2013.07.16 |
59. 삶의 정보 (0) | 201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