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선수행
/
나이도 먹을 만치(60?) 먹었으면 상하좌우 위도 아래도 가려야 한다.
베이붐 세대 50대는 남이 되어가고 60대는 왠지 어색하다.
그러나 곧 익숙해져 자리를 잡겠지 돌아보면 무슨 생각이 날까
욕심이 과하여 내 분수에 살지 못하였고
분수는 내처지 능력에 맞게 겸손하게 처신하는 것인데
대책 없는 허망한 망상이 욕심으로 굳어져 결실은 허탈하다.
그 아픔은 삶을 좌우하여 평생을 안고 간다.
제 분수를 모르고 촐랑거려 도리와 순리에 크게 벗어나
어느 날 한방에 무너져 철창신세 지기도 하고
스스로 세상을 등지기도 하는 자를 가끔 본다.
그럴 바에야 차라리 배우지도 가지지도 말고
더 나아가 태어나지 않았으면 더 좋았을 텐데
도리를 지키며 순리대로 산다는 게 쉽고도 어려운 것이다.
골치 아픈 것 떨쳐버리고 이 한 몸 편하자고
깊은 산중 조용한 곳으로 들어가는 것은 수행이 아닌
현실 도피며 오래가지 못하고 곧 환속한다.
일상의 고통 괴로움 하나하나가 수행의 장인데
참선은 선방이 아니라 걸어가면서 세상풍경 바라보며
세상이치를 깨닫는다면 그게 진정한 참선수행이다.
즉 내 마음 어디에 머무냐가 관건이다.
깊은 산중 선방에 가부좌 틀고 앉아 깊은 생각에 잠기지만
마음이 콩밭에 가 있으면 꾸벅 꾸벅 존다.
나를 정점으로 두면 내 책임 아닌 것이 없고
세상의 원망은 나의 욕심이고 바람이다.
그렇게 비우고 버리고 내려놓으면 편안하다.
역사는 반복되며 오늘도 계속 이어져 가는데
떠나간 자들을 보면 허망하고 허탈한 것이 삶이다.
너도 나도 그 길을 알지만
깨닫지(실감하지) 못하니 덤덤하고 고통과 괴로움이다.
무엇을 보고 듣고 무슨 말을 해도
마음에 없으면 깨달음은 없다.
'신비의 아름다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75. 忍(인)/ (0) | 2015.06.23 |
---|---|
74. 문턱 .카톡/ (0) | 2015.06.20 |
72. 말과 글/ (0) | 2015.06.16 |
71. 허공/ (0) | 2015.05.27 |
70. 그럴 수도 있겠구나.// (0) | 201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