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행복
🧧幸 福
🎈두 개 다 가지면 행복하니??
- 이 글은 1억원씩 내고 그냥~ 읽어 보아도 아깝지 않아요! -
/
국민학교 다닐 때 아이들이 어찌나 많은 지 한 반에 보통 70명이 넘었다.
10반을 넘었으니 쉬는 시간에 운동장을 내려다보면
거짓말 안 보태고 새카맣게 보였다.
몇 학년 때인가 기억이 안 나는데
내 짝은 몹시 마르고 까무잡잡한 여자 아이였다.
/
짝은 도시락을 한 번도 가져오지 않았고 옥수수빵을 받아 먹었다.
그런데 그 빵도 다 먹지 않고 남겨서
가방에 넣는 것을 여러번 보았다.
연필이니 공책도 없을 때가 많았고
그림 도구는 아예 준비를 해오지 않았다.
그래서 내 것을 많이 썼는데 정말 아껴서 잘 쓰려고 하는 것이 보여
반 쯤 쓴 크레용셋트와 도화지를 나누어 주기도 했다.
/
어느 날인가 그 애가 빵을 받아서 자리에 앉는데
그 냄새가 너무 좋아서 내 도시락과 바꾸어 먹자고 했다.
그래도 되느냐고 하면서 짝은 너무나 맛있게 도시락을 비웠고
나는 옥수수빵을 잘 먹었다.
내가 짝에게 앞으로 종종 바꾸어 먹자고 했더니
그 애는 그렇게 좋아했다.
/
나는 그 시절만 해도 빵순이었고
옥수수 빵은 밥보다 훨씬 맛있었다.
아버지에게 그런 이야기를 했더니 그저 미소를 지으며
밥을 많이 담아 가라고 할 뿐이었다.
다음 날도 바꾸어 먹었는데 그 애는 반 정도 먹고 남겨서
새까만 빈 도시락에 모두 담는 것이었다.
/
나는 왜 그러느냐고 묻지도 않고 집에 와서
아버지에게 또 미주알고주알 다 말했다.
아버지는 고개를 끄덕이며 짝이 어디 사느냐고 물었으나 나는 몰랐다.
그런 일이 되풀이 되고
어느 날 아버지가 하굣길에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짝과 함께 나오던 길이었는데
아버지는 그 애 집에 가자고 했다.
/
짝은 무서워 하면서 무조건 잘못했다고 말하며 울음을 터트렸다.
쌀밥과 빵을 바꾸어 먹은 일을 들켜 혼을 내는 것으로 생각하고
울음이 터졌다고 후일 그 애가 내게 말했다.
아버지는 무릎을 구부리고 앉으며 그 아이를 안아 주었고
우리는 함께 짝의 집까지 걸어 갔다.
/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산다는 고갈산 밑의 동네는 온통 루핑지붕 집이었고
생전 처음 가 보는 이상한 세계였다.
나는 못 들어가고 아버지만 들어 갔는데
한참 있다 나온 아버지의 손을 잡고 동네를 벗어날 때 까지
우리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
먼저 입을 연 아버지는 짝에게 잘해주라고 했다.
"니 나이 때의 아이라 한창 먹을 때인데
도시락을 반 남겨서 집에 가져 간다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지.
아버지의 그 이유가 궁금 했었어.
밥을 가져가서 저녁으로 먹는다면
그렇게 굶기는 부모는 못 쓰는 사람들인 것이야.
/
그런데 네 짝은 그 밥을 가져가서 물을 넣고 끓여
아픈 아버지께 죽을 끓여 드린 거야.
아버지가 많이 아파서 어머니가 장사해서 겨우 먹고 사는데
아버지 끓여 줄 쌀 한 줌이 없는 것이야.
쌔까만 보리밥만 해먹으니 아픈 사람이 먹지를 못하는데
쌀밥 죽을 먹고 많이 원기를 채렸다고 하는구나.
/
심청이 못지 않은 아이야."
아버지가 짝의 집에 무엇을 해주었는지 나는 다 모른다.
짝의 어머니가 시장의 난전 한 곳에서 고정적인 장사를 하게 되었고
쌀가마니가 왔다고 그 애가 내게 울면서 말해서 알았다.
아버지는 그 애가 심청이 같은 효녀이기에 작은 도움을 주었다고만 했고
나도 그렇게만 알고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았다.
/
엄마가 알면 시끄러워지고 싸움이 나기 때문에
그런 일은 말하지 않는 것이 옳았다.
언제나 말하지만 우리집은 부자가 아니었고
때론 아버지의 자선은 지나칠 때가 있다는 것을 나도 알았다.
장사해서 남 다 퍼준다고
엄마가 대들면 아버지는 허허 웃으며 항상 하는 말이 있었다.
"두 개 다 가지면 행복하니?
곳간에 많이 쌓아 두면 더 행복하냐?
쪼끔만 나누어 주면 신간이 편한데 그것이 더 좋지 않니?"
쪼끔만 나누어주면 신간이 편하다...
/
신간이 편하다는 그 말의 뜻을 나는 요즘 알아가는 듯 하다.
두 개 가지고 있어서 행복이 두 배가 되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되어
그 행복감이 주는 느낌이 얼마나 좋은지 모른다.
두 개를 나누어 나는 한 개만 있게 되었는데
그 충만한 느낌은 두 배, 세 배가 되니
아버지가 왜 그랬는지를 이제야 알게 된다.
/
이북에 있는 조부모님이 집에 찾아오는 사람
그 누구도 빈 손으로 보내지 않았는데
한 번도 재산이 준 적이 없노라고 아버지는 늘 내게 말했다.
/
나누어서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고 가르쳐준
이 유산이 내게는 무엇보다 귀한 유산이다.
그나마 조금이라도 그저 습관이 되어
나눈 시간이 조금도 아깝지 않다.
두 개 다 가져서 행복하니?
껄껄 웃는 아버지의 목소리가 이렇게도 선명하다.
/
- 권영심(변호사)여사 글-
/
※ 남을 행복하게 하는 것은 향수를 뿌리는 것 같다.
뿌릴 때는 자기에게도
몇 방울 정도는 묻기 때문이다.
- '윈스턴 처칠'
/
※ 열정은 성공의 열쇠 이지만,
나눔과 희생은 성공의 완성이다
- '워런 버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