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 다가올 이슈
다가올 이슈(문제점)?
/
시대적 이슈는 세월따라 바뀌는데
당면한 이슈를 잘 해결하고 풀어야지요
/
1. 인구절벽: 예전엔 5-8명정도 출산율이라
년간 중소도시 규모의 60만명씩 불어나
계족계획 둘만 낳아 잘 기르자 했는데
지금은 0.85명의 저출산, 5천2백만을 못 넘기고
감소추세로 돌아서 이대로 가면
2100년쯤은 15백정도 예상됨(추정)
저출산은 사회적 문제(이슈)로 대두되며
대책은 출생율 높은 국가에서 외국인 귀화(이민)
다민족 국가로 갈거 같습니다
/
2. 부동산(집값): 계속 오르는데
인구가 줄어들면 주춤하다가 내리지 않을까?
인구가 도시에 몰려 있으니 농촌부터 하락할 거고
대도시일수록 속도는 느릴 건데,
수요와 공급을 잘 맞추어야 하지요
/
3. 쓰레기대란: 1회용품 증가와 생활환경이 좋아지면서
쓰레기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하는데
환경문제와 더불어 처리에 골머리를 앓으며
문제는 고비용 처리로 대책은 돈이며
환경문제로 지역간 갈등도 예상됨
/
4. 고령화: 베이붐세대(55년-63년생)가
노인세대(65세)로 진입하면서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며 생산력저화.
백세시대지만 사망률이 높아져 장례대란(화장시설,안장)
연금, 노인일자리, 요양원시설, 등등 사회문제로 대두.
/
5. 자연재해: 지구 온난화로 홍수 태풍 한해 혹한
더위 등등의 강도가 세지고, 4계절 구분이 안됨.
여기다가 지진은 예측 불가라 공포.
/
6.질병: 환경 파괴로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가 출현하여
주기적으로 싸스 메르스 코로나 등이 발생했는데
또 어떤 변종 바이러스 질병이 나타날지
가축 동물에는 구제역, 아프리카 돼지열병,
조류인플루엔자 등이 수시로 발생하니
가축도 사람도 질병의 수난 시대입니다.
/
국제 질서는 냉혹하고, 민주주의 시대라
매년 크고 작은 선거가 있는데
정치는 이런거는 생각치 않고
입신양명 개인 이기주에 빠져 있지요
지역 집단 계층간 갈등도 표출되며
지연 혈연 학연도 잠재되어 있으니
통합.화합으로 이끌어 가기가 어려운데
정치는 표계산 선동선전에 몰두하니
세상살이가 참 복잡합니다.
(그냥, 내생각 적어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