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과 추억

99. 득(得),희생,봉사/

초막 2020. 1. 29. 17:09

(),희생,봉사

/

명절이나 조상기일 때

를 올리는것은 조상섬기고 위함이지만

까놓고 말하면 내 잘되기 위함이지

그렇지 않다면 누가 그러겠는가.

일부 특정종교 신자들은

를 올리지 않는데,

이것도 내 좋다고 함이지

하느님이나 조상을 위함은 아니지.

종교적 신앙은 하느님.부처님 위함이 아니라

내 패거리 잘되기를 염원하며

하느님 부처님에게 기도한다.

/

결혼전 낯선 선남선녀가 앉아서

이것저것 물어보는 것도

내 득보자고 그러는 거고

손해 볼거같으면 꽝이다

그런데 살다보면 콩깎지 낀것을 알지만

그 나물에 그밥, 같은 생각이였으니

그렇게 맺어진 게 아닌가.

/

간혹 종교적 신념으로

희생과 봉사 사랑으로 맺어지지만

뭔가 느껴지는 카타르시스템

영예?? 얻어지는 게 있어 그렇지.

일방적인 희생과 봉사는 없다.

/

동창회도 즐겁고 좋으니 만나는 거고

찌부리한데 그럴자가 있겠나.

공감대 형성이 잘되면 많이 만나고

찌부리하면 찌부리 한건데,

/

세상 무엇이든 작용과 반작용

명분없고 일방적인 것도

이거다하는 정답도 없구려.

그래서 내밥먹고 내가 살지만

욕얻어 먹기도 하니

명분따라 산다는 게 힘드네.

나이 들어갈수록 뻗뻗해 지기도 하고

유들부들 해지기도 하는데

어느 쪽이든 내가 택하는 거고

다 일리가 있고 맞는 말일세.